728x90
반응형

<비트코인 폭박적 상승에 올라타라> 의 3, 4장 요약 내용입니다. 반감기 개념을 정리하고 반감기로 매수 타이밍 잡기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3장 반감기 개념부터 탑재하라

비트코인_반감기_개념

이번 상승장에 비트코인이 얼마까지 오를까

1.어떤 이유로든 코인 버블이 폭발적으로 발생하면 예측한 가격을 훨씬 뛰어넘을 것이다. 

2. 2024~2025년 글로벌 경제가 타격을 받아서 유동성이 줄어들거나 지정학적, 자연재해 등 악재가 터지면 예측 가격보다 훨씬 덜 오을 것이다.

가격에 대한 반감기의 영향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여러 시나리오를 보면 비트코인 가격의 고점 전망이 최소 9.7만 달러에서 최고 23.3만 달러까지 천차만별인 것을 알 수 있다. 굳이 고르라면 저자는 전문가들의 중간값인 15만 달러(2억 원 정도) 정도가 합리적인 기대치라고 한다. 

4장 반감기로 매수 타이밍 잡기

비트코인_반감기_매수_타이밍

비트코인 언제 매수하는 게 좋을까

(1) 최고점 대비 하락이 6개월 이상 지속될 때

(2) 최저점 대비 2배 오를 때

이더리움은 어떨까?

이더리움도 결론적으로 저점 대비 2배 올랐을 때 매수하는 전략이 나쁘진 않았으나, 세 번 다 처음 한 달 동안에는 수익이 별로 좋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더리움의 경우 타이밍이 비트코인보다는 덜 정확하다고 볼 수 있다. 아무래도 비트코인보다 변동성이 훨씬 크다 보니 저점 대비 2배 돌파도 키트코인보다 더 빨리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비교해보면 이더리움의 2배 돌파가 비트코인보다 조금 빨리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더리움이 2배 돌파 시기가 비트코인보다 빠르다면, 굳이 그 시기에 이더리움을 매수할 필요가 없으며 이더리움도 비트코인이 최저점 대비 2배 돌파하는 시기에 같이 사면 된다. 따라서 알트코인도 비트코인이 최저점 대비 2배 오르기 전에는 매수를 자제하자.

 

✅ 더 읽어볼 글

상승장에서 비트코인 대신 알트코인의 중장기 투자전략

어느 정도 금액으로 어떻게 매수할까

자산의 10%이상을 잃지 말자고 했으니 그 원칙에 따라 투자 시뮬레이션을 돌려보자. 만약 자산이 4억 원이고 코인투자에서 절대로 4000만 원 이상을 잃지 않고 싶은 투자자를 가정하자.

(1) 최대 손실 금액 설정

-첫 거래의 최대 손실은 1000만 원 정도로 한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한방에 4000만 원을 잃고 떠날 것이 아니면 여러 번 베팅할 수 있게 기회를 남겨 놓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2) 첫 베팅 금액

-최대 1000만 원만 잃를다면 1000만 원보다 좀 더 큰 금액을 토자하되 손절폭을 투자 전에 설정할 것을 권한다.

  • 비트코인의 경우 25%정도의 손절 폭을 권한다.
  • 그렇다면 첫 베팅에 4000만 원을 투입할 수 있다. 25%하락시 1000만 원으로 제한하고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면 손실은 짧게의 원칙을 지킬 수 있다.

(3) 첫 거래가 손절로 끝난 경우

-첫 거래에서 비트코인이 25% 하락해 손절했다면 다음에는 최대 손실 금액을 첫 거래의 80% 정도인 800만 원 정도로 조금 줄인다. 이 경우 3200만 원을 투자하면 된다. 그러면 25%하락 시 손절하면 3200만원의 25%인 800만 원이 최대 손실액이 된다.

 

-이렇게 실패할때마다 투자 금액을 80%로 줄이는 방법으로 투자했을 때 7번 연속으로 실패하면 3950만 원을 잃게 된다. 

 

(4) 매수한 코인이 오를 경우 

-1개에 4000만 원 비트코인이 5000만 원으로 올랐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0.6개를 추가매수한다. 총 투입한 투자금은 7000만 원이다.(불타기)

-왜 0.6개를 추가매수하냐면 손절시 손실금액 1000만 원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오른 가격과 추가매수까지 합하여 여기서 손절 포인트를 25% 적용하면 손절금액은 3750만 원이 되며 전체 손실금액은 (4000만-3750만)x1+(5000만-3750만)x0.6=1000만 원이다.

-여기서 다시 가격이 3750만 원으로 떨어진다면? 아쉽게도 손절한다. 하지만 손실은 1000만 원으로 제한된다.

 

(5)-1 코인이 계속 오를 경우: 3차 매수, 최종 투입금 1억 원

-코인이 또 25%상승하여 6250만 원이 되었다고 하면 불타기를 반복한다.

-총자산 4억이고 코인에 투자하고 싶은 최종 금액이 1억 원이라 가정하자. 자산의 25% 이상은 도저히 코인에 투자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1차 매수 4000만 원, 2차 매수 3000만 원 이후 남아있는 3000만 원을 3차 매수 때 투입하면 된다.

-3차 매수에서 6250만 원이 된 비트코인 0.48개를 매수하면 1억 원이 소진된다. 비트코인 총 보유량은 2.08개.

-손절가는 6250만 원에서 25% 하락한 4687.5만 원이다. 이 경우 250만 원 손실을 본다. 1000만 원보다 적은 손실이다.

-여기서 비트코인이 1차 매수 가격에서 5배 오른 2억 원까지 올라간다면 비트코인2.08개 보유하고 있으므로 4억 1600만 원 가치의 비트코인을 소유하게 되며, 투자 원금은 1억 원이므로 3억 1600만 원을 번 셈이다.

 

-1차 매수 후 불타기 엇이 보유했을 경우 1.6억 원을 벌었을 경우이므로 이 정도면 수익은 길게 라는 요건을 충족했다고 볼 수 있다.

-비트코인이 4000만 원일 때 2.5개를 사서 1억 원을 투자했으면 5억 원이 되는 것이 아니냐고 반박하는 말도 맞는 말이다. 하지만 만약 비트코인이 4000만 원을 찍고 하락했다면? 3000만 원까지 25% 하락했다면 손실은 최대 목표 손실 금액인 1000만 원을 훨씬 넘는 2500만 원에 도달했을 것이다. 즉, 1억 원 전액 매수 전략은 손실은 짧게 원칙을 지키지 못한다고 몰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렇게 3번 걸쳐서 분할매수+불타기를 할 경우 (1)최대 손실이 1000만 원을 넘지 않게 제한했고(손실은 짧게) (2)불타기를 통해 수익을 꽤 크게 가져가는 데 성공했다(수익은 길게)

 

(5)-2 코인이 계속 오를 경우: 3차 매수, 최종 투입 금액 2억 원

-이번에는 코인에 투자하고 싶은 금액이 2억 원이라고 가정해 보겠다. 

-다음과 같이 5차에 걸쳐서 매수하는 예시를 들 수 있다.

1차: 4000만 원, 1개

2차: 5000만 원, 0.6개

3차: 6250만 원 0.6개

4차: 7800만 원, 0.55개

5차: 9800만 원 0.51개

-만약 비트코인이 2억 원까지 오르면 총 매수 수량이 3.26개이므로 6.52억 원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게 된다. 투자 원금은 2억 원이므로 4.52억 원을 버는 셈이다.

 

분할매수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할까?

1.고정 퍼센티지 상승 후 매수

예시에는 비트코인은 25% 정도, 알트코인은 30% 정도 상승하면 추가매수를 했다. 정답은 없지만 20~25% 상승시 추가 매수, 알트코인의 경우 30~40% 상승시 추가 매수를 하면 어떨까 싶다.

 

2. 시간 매수

첫 매수 후 다음과 같은 규칙을 정해 매수한다.

-마지막 매수 시기

-매수 횟수

예를 들어, 지금까지 비트코인의 흐름을 보면 아주 강한 상승장은 반감기 6개월 후쯤 왔으므로, 이때를 마지막 매수 시기로 삼고 매수 횟수를 4회로 가정하자.

그렇다면 4차 반감기 전 2023년 7월 13일에 최저점 대비 2배 상승 시기가 왔으니 이날 1차로 매수한다. 2024년 4월 30일이 반감기 시작이라고 하면 마지막 매수일은 2024년 10월 30일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첫 매수와 마지막 매수가 15개월 17일 정도 떨어져 있으니 그 사이에는 5개월 6일 후에 두 번째, 세 번째 매수를 각각 진행하면 된다.

 

여기에는 정답은 있을 수 없다. 예를 들어 반감기 시작일을 마지막 매수 시기로 보고 매수 횟수를 3회로 할 수도 있고, 반감기 3개월 후를 마지막 매수일로 잡고 5회에 걸쳐 매수할 수도 있다. 아니면 그냥 12개월 동안 매월 말 적금하듯이 매수해도 된다.

 

3. 베이스 돌파 시 추가 매수

매수를 베이스 돌파 시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베이스는 등산의 베이스캠프와 비슷하게 생각하면 된다. 주식이든 코인이든 대세상승장이라고 해서 가격ㄱ이 수직으로 상승하지 않는다. 중간에 횡보 구간(박스권)을 거치는데, 가격이 이 구간을 돌파하는 시기를 추가매수 타이밍으로 본다. 차트에서 박스권을 돌파하는 시기를 베이스 돌파에성공한 것으로 보고 2, 3, 4차 매수를 진행한다.

 

분할매수를 하면 더 비싸게 산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전량매수, 분할매수 둘 다 장단점이 있어서 어느 방법이 옳다고는 말할 수 없다. 공격적인 투자자에게는 전량 매수, 방어적인 투자자에게는 분할매수를 추천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