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R이란?
주가순자산비율(PBR, Price Book-value Ratio)은 주가순자산비율이다.
주가를 1주당 자산가치로 나누었을 때 몇 배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업의 청산가치(장부상의 가치)와 시장가치를 비교해 보는 방법으로 쓰인다. 주당순자산가치를 BPS라고 한다.
또다른 말로 하면 PBR이란 현재 주식시장의 시가총액을 순자기자산가치로 나누게 되면 1주당 가격이 순자산에 비해 얼마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이다.
PBR=주가/ 1주당 자산가치=시가총액/순자산가치
BPS란?
주당순자산가치 BPS(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이다. BPS는 청산가치라고도 부르는데 이유는 만약 지금 기업을 다 팔아서 주주들에게 나누어 준다면 1주당 얼마씩 받을 수 있는가를 알 수 있는 값이기 때문이다.
BPS값이 크다는 것은 회사 가치가 높다는 뜻이거나 자기자본의 비율이 높다는 뜻이다. BPS에는 주가에 대한 정보없기 때문에 이 회사의 주가가 자산 가치에 비해 얼마인가를 판단하기 위해서 PBR을 사용한다.
PBR이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
PBR이 1인 주식이라면 현재 회사를 팔면 딱 주가만큼 주주에게 돈을 돌려줄 수 있다 는 뜻이다. 즉 어떤 주식의 시가총액이 기업의 순자산보다 크면 그 주식은 고평가된 주식일 것이고 반대의 경우면 저평가된 주식이다.
PBR의 상승률을 보고 판단할 수도 있다.
PBR의 상승률이 급격하면 회사의 성장가치를 높이 평가받아 주가가 급격히 올라갔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PBR이 상승률이 하락추세이거나 왔다갔다 횡보하는 형태라면 주가도 그저그렇게 왔다갔다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PER이 기업의 수익성만으로 주가를 판단하는 기준이라면 PBR은 재무적인 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따라서 PBR는 기어브이 성장가치나 이익에 관한 수치가 반영된 지표는 아니기 때문에 주가의 미래를 예측하는 데에 참고로 사용해야 한다.
또한 순자산으로 계산한 지표이기 때문에 부채가 제외되어 있어 PBR이 낮다고 무조건 저평가된 주식이 아니라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요즘 미친 듯이 가격이 떨어진 포스코의 경우 PBR을 살펴보면
0.36으로 상당히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다.
PBR이 1보다 작다면 주가가 기업 청산가치에도 미치지 못 할만큼 낮다는 뜻이고 저평가된 주식이라는 뜻이다.
철강계 불황에 대표는 자꾸 검찰이 불러들이고 영업이익도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라 PBR이 낮은데 다시 올라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ㅠㅠ
반면에 올해 주식분할을 했던 아모레퍼시픽의 경우는 PBR을 살펴보면
9로 상당히 고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 상장된 기업의 평균 PBR은 1.2~2정도라고 하니 이정도면 몇 배로 고평가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