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폭발적 상승에 올라타라> 7장 코인 in 자산배분 전략을 요약하였습니다. 코인을 포함하는 한국형 올웨더 자산배분 전략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코인의 포지셔닝
대표적인 장기 투자 전략으로 자산배분이 있다. 자산배분의 3대 핵심은 다음과 같다.
(1)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자산에 투자한다.
(2) 다른 자산군과 상관성이 낮다.
(3) 변동성이 큰 자산의 비중은 크게, 변동성이 낮은 자산의 비중은 작게 잡는다.
✅ 더 읽어볼 글
비트코인 매도 전략: 계량 매도 전략, 비계량 매도 전략
1.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는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자산인가?
지금까지는 비트코인을 매수해서 계속 보유하는 전략의 수익률이 매우 좋았으나, 미래에도 비트코인이 계속 우상향할거라는 경제적인 근거가 없으므로 특정한 기준을 정한 뒤 그에 따라 치고 빠지는 트레이딩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2. 다른 자산군과 상관성이 낮은가?
만약 비트코인 등 디플레이션 암호화폐가 우상향하는 자산이라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일단 코인은 자산배분에 포함될 자격을 갖게 된다.
다른 자산과의 상관성 표를 보면 비트코인과 주요 자산군의 상관성은 2018년까지 높지 않은 수준이었으나 2019년부터 미국 S&P500, 나스닥 지수와의 상관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10여 년간의 데이터를 보면 비트코인은 주식, 채권, 금, 원자재 등 주요 자산군과 상관성이 낮은 편이라 자산배분 차원에서 포함할 수 있는 자산군으로 보인다.
3. 비트코인의 변동성은 어느 정도일까?
자산배분에서 변동성이 낮은 자산의 비중은 크게, 변동성이 높은 자산의 비중은 작게 잡는다. 암호화폐 투자 비중을 전 자산의 5%로 가정하면 다음 표와 같은 자산배분이 탄생한다.
[한국형 올웨더]
- 한국 주식 16.5%
- 미국 주식 16.5%
- 한국 채권 24%
- 미국 채권 24%
- 금 14%
- 비트코인 3%
- 이더리움 2%